두번째 커피 한잔.

1026일 목요일 오후3시 까르페디엠에서 김희정 선배님을 만났다.



선배님 소개 좀 해주세요.


 대학 다니면서 학생운동을 했다. 여성으로서의 삶과 가치에 대한 물음들이 학생운동으로는 해소되지 않았는데 여성학 수업을 듣고 많은 의문들이 해소되었다. 바로 114에 전화를 걸어 여성단체 연락처를 문의했고 동북여성민우회를 소개 받았다. 동북여성민우회에 이력서(?)를 준비해서 방문한 첫날 김연순(당시 사무국장) 언니를 만나고 바로 활동을 시작했다.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 재미없고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 학교를 그만두고 동북여성민우회에서 상근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활동 시작 당시에는 활동가라는 명칭도 없었고, 개념도 생소할 때였다.

 컵라면 먹으면서 활동하는 언니들을 위해 쌀밥을 먹여주겠다는 생각으로 아름다운재단으로 옮겨가서 활동을 했다.(웃음^^) 공익적인 모금을 하는 첫 단체였고 거기에 흥미를 느끼고 활동을 하게 되었다. 활동하면서 모금을 통해 돈만이 아니라 사람이 함께 온다는 것을 깨닫게 했지만 돈이 오고 가는 지원 관계의 이면이 참 황폐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돈으로 지원하는 것은 이제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후 인권재단에서 몇 년간 프리랜서로 활동하다가 NPO지원센터에서 3년간 활동했다. 돈이 오고가는 관계가 아닌 사람간의 관계로 활동을 했다.

 

활동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나요.


 여성학 수업이 큰 계기였다. 여성학 수업을 들으면서 확 트이는 느낌이었다. 이해되지 않았던 엄마의 삶과 나의 삶이 이해가 되고 편해지는 느낌이었다.

 

민우회에서 아름다운재단으로 옮길 때 어땠는지 말씀해주세요.


 민우회는 직장이기 이전에 나의 정체성이라 생각했다. 민우회를 떠나서는 어디를 가든지 민우회는 나를 키워준 제2의 어머니, 2의 자궁이라고 생각한다.

 


돈을 지원하는 것은 이제 끝이라고 생각하셨는데 그 해답을 얻으셨나요.


 위기라고 생각하는 순간 해답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노사모의 등장을 보면서 시민단체의 역할을 다른 주체들이 할 수 있겠구나 생각했다. 새로운 방식으로 다양한 주체들이 나서는데 예전의 지원 방식(특히 돈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다른 요소의 지원이 필요하고 지원의 방식도 바뀌어야할 것 같다. 종속적인 관계가 아닌 파트너, 동반자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NPO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는 돈으로 지원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결과 중심보다 과정이 드러나보이는 지원을 했다. 연속지원을 얼마만큼 할 것인지 규정하지 않았고 지원하는 자원에 대해 자유롭게 하지만 공익적 목적에 한해서 쓸 수 있도록 했다. 공익적 목적이 어떤 것인지도 가치설정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활동하시면서 느끼는 좌절이나 어려움이 있었다면 말씀해 주세요.


 NPO지원센터 활동하면서 NGO 단체들과 거리를 두고 있다. 활동가 정체성은 나의 정체성 중 하나이다. 굳이 활동가라고 명시하는 일을 하지 않아도 다른 영역을 통해 활동가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거버넌스, 협치 구조가 답답하고 나에게 맞지 않는 것 같아서 내가 재미있는 일, 즐거운 일을 하고 싶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남아있는 동료들을 보면 미안한 생각도 든다. 끝까지 남지 않는 것, 단체 활동에서 행사나 사업의 성과를 행정적으로 요구하는 것, 모든 것을 계획한데로 만들려고 하는 것 등 인위적인 것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

 

지역활동, 사회혁신활동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요. 지역활동, 사회혁신활동의 진입을 어려워하는 청년들에게 해줄 조언이 있나요.


 지역활동, 사회혁신활동 영역에 대한 정확한 개념 설명은 어렵다. 원천기술로 접근하여 설명하면 좋겠다. 시민사회와 지역은 사람사이에 말문을 트이게 하고 참여하게 하는 원천기술을 얻게 된다. 지역활동, 사회혁신활동을 하면 바로 이러한 원천기술을 얻는 것 같다.

1세대 리더십은 단체를 넘어서 지역을 고민하는 시기였다면 2세대 리더십은 자기 단체만 들여다보는 시기인 것 같다. 단체의 역량이 부족해서 그랬다보다는 시기가 그런 것 같다. 지금의 시기는 다시 민민 단체를 넘어서 지역을 만드는 사업을 할 때이다. 개별 단체가 잘 되는 것보다 지역 전체가 잘되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차원의 문제가 잘 해결되면 단체의 유연성이 더 올라가지 않을까. 협력의 과정도 협력이 되게 하여야 한다. 계획을 세우는 과정부터 긴 시간 협의하고 협력했으면 좋겠다. 기존의 대표 리더십으로 민민 협력이 가능한지 의문이다. 단체가 있다가 없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오히려 유지되기 어렵고 힘든 단체가 유지되는 것이 이상한 건 아닌지. 모두가 어려운데 개별공간과 사람을 힘들게 꾸리고 유지하기보다는 사무실도 함께 쓰고 활동가 역량도 함께 공유하면 더 효율적일 것 같다.

 

이야기 들으면서 단체별로 사업을 공유하고 비슷한 사업은 콜라보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공통의 자원은 함께 이루고 이용하면 좋겠다. 예를 들면 단체마다 각각 디자이너를 두는 것은 비효율적이란 생각이다. 공동의 디자이너를 두고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활동가들에게 조언을 해주세요. (활동과 생활이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


 삶과 일의 가치 싱크로율이 높아야 되는게 이 영역이다. 실제로 그렇지 못할 때 활동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협력하자고 나서려면 그 단체의 구조부터 협력의 구조가 되어여 한다. 활동가가 컵라면을 먹으면 일이 많으니 당연한거야가 아니라 컵라면을 먹으며 일을 하는 그런 구조를 바꿔야 한다. 이런 가치부터 확실하게 해야한다.

 

자녀에게 만들어주고 싶은 세상은 무엇인가요.


 자녀들이 살 세상은 자기들이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웃음^^) 지금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이 기록과 자료를 잘 남겨야 한다. 그것을 후대들이 참고해서 취사선택하여 세상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내가 만들어 주고 싶은 세상은 기록이 잘 되어있고 아카이빙이 잘 구축되어 있는 세상이다.


활동하는데 배우자의 지지는 어떠한가요.


 한참 활동할 때 밖에서 볼 때는 활동이 비효율적으로 느껴진 것 같다. 가족이 밤늦게까지 활동하는 것에 대해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것 같다.

 

끝으로 도봉구 시민협력플랫폼에 대한 기대와 당부의 말씀을 해주세요.


 중간자라는 포지션을 잘 취해야 한다. 경직되는 순간 갑이 될 수도 있다. 주변의 환경을 잘 이해하는 유연성을 가졌으면 좋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