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 민간단체 소개 인터뷰 #28

도봉문화재단 문화사업팀 간송옛집

(이미실 실장)

 

△간송옛집 입구

무더위가 한풀 꺾여 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오후, 간송옛집을 찾았다.

산자락에 위치한 간송옛집에 들어서니 시간이 거꾸로 흐른 듯 고즈넉한 분위기가 펼쳐졌다.

“오늘 인터뷰로 방문했는데 혹시 이미실 선생님은 어디 계신가요?”

“아, 이쪽으로 들어오세요.”

우리는 2평 남짓한 자그마한 사무실로 들어가 자리를 마주하고 앉았다.

△간송옛집 이미실 실장

간송옛집에 근무하기까지 선생님의 활동 계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나의 활동은 2013년 방학3동 극동아파트의 마을공동체 햇살문화원에서 시작했다.

방학 극동아파트는 160여 세대로 1990년도 초에 준공된 작은 규모의 아파트이다.

어느 날 관리소장께서 아파트 지하의 짜투리 공간을 염두에 두고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이 있으니 한 번 해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해왔다.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주민들의 손품과 발품을 팔아 70평 정도의 공간을 함께 다듬고 칠하고 가꾸어 20139월에 햇살문화원으로 명명한 공동체 공간을 마련했다.

공간이 지하에 위치하여 햇볕과 통풍이 쉽지 않기에 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 안에 햇살처럼 따뜻하고 밝은 에너지가 잘 스며들길 바라는 마음에서 햇살문화원으로 짓게 되었다. 그 후 아파트공동체의 대표 사례로서 큰 주목을 받았고, 지금까지 명맥을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다.

마을 활동은 마음 맞는 사람 세 명만 있어도 뭔가를 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현재 15명 정도가 운영위원회 역할을 하고 있다.

햇살문화원은 평생학습의 개념으로 시작했는데 교육을 받기 위해 멀리 가지 않고 아파트 안에서 해결해보자는 취지였다. 처음부터 강사도 주민이었고 학습자도 주민이었으며, 노인정 어르신들과도 협업이 잘되어 삼대가 어우러지는 공동체로 성장하고 있다. 우리 아파트는 유동인구가 많지 않은 곳이었는데 최근 젊은 세대가 유입되면서 아이들이 뛰어노는 모습을 늘 볼 수 있어 아파트에 생기가 돌고 있다. 자연스럽게 아이들 영어프로그램, 캠프, 숲 놀이 등 가족과 함께 하는 활동이 새롭게 구성되었다.

아파트 주변에는 빌라가 몇 동 있는데 아파트와 빌라가 형성된 지형이 마치 작은 마을처럼 자리 잡고 있다. 햇살문화원은 올해 가을에도 빌라 주민들과 함께 마을잔치를 계획하고 있듯이 아파트를 넘어 주변 이웃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 봄과 가을에는 일주일에 한 번씩 주민들이 직접 만든 반찬을 서로서로 나눔 하는 정겨운 모습을 비롯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살맛나는 아파트공동체를 가꾸어 가고 있다.

햇살문화원을 시작으로 수제Bee 프리마켓, 도봉혁신교육지구 마을학교, 방학3동 주민자치회 등에서 활동하면서 20159월에 간송옛집으로 오게 되었다.

△ 간송옛집 전경

간송옛집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주세요

간송옛집, 간송 전형필가옥은 우리 문화재 수호에 큰 공을 세우신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으로 간송의 묘소와 어우러져 자리하고 있다.

간송문화보국(文化保國:문화로 나라를 지킨다)의 일념으로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 문화 유산을 수준 높은 안목으로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하여 이를 보존하고 계승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간송옛집은 19세기 말 그의 양부 전명기(1870~1919)가 인근에 자리한 농장 및 경기북부, 황해도에서 오는 소출 관리를 목적으로 지은 것으로 100여년 역사를 지닌 전통한옥이다. 간송은 부친의 사망 이후 한옥 부근에 묘소를 꾸미고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필요한 제구를 보관하며, 일기가 좋지 않으면 본 한옥의 대청마루에서 제사를 지내는 등 재실로도 사용하였으며 양주군의 농장을 방문할 때나 부친의 제사를 모실 때 자주 이곳에 들러 생활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대문과 담장 일부 및 건물이 피해를 입었고, 전쟁 이후 종로구 본가 및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의 피해 복구로 이곳의 수리가 지연되다가 1962년 간송이 세상을 떠나고 종로의 본가가 철거되면서 나온 자재를 활용하여 부분적 수리가 이루어졌다.

한평생 개인의 안위보다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지켜내고자 했던 그의 숭고한 정신을 통해 민족의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서 간송이 생전 사용하였던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건축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곳이다.

201212월 국가등록문화재 제521호에 등재되고, 도봉구와 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 에서 20159월 복원·개관하였으며 현재 도봉문화재단에서 위탁 운영 중이다.

<간송선생님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간송미술문화재단 홈페이지를 참고 하세요>

홈페이지 바로 가기 : http://kansong.org/

 

 

간송옛집을 복원하게 된 계기가 구청장님의 둘레길 산행에서 낡은 옛집에 발길이 멈추면서 단초를 열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간송선생님의 문화보국 정신에 부응하는 청장님의 마음과 후손들의 마음이 하나로 응집되는 운명적인 시기였다고 생각한다.

그 소중한 마음을 잇는 수많은 분들의 노력을 통해 지금의 간송옛집이 도봉구의 대표적인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게 된 것 같다.

△간송옛집 전경

 

간송옛집에서 진행되는 행사나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 있나요?

도봉구청과 도봉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것과 문화재청의 사업 공모를 통해 진행하는 생생문화재 사업, 지역 연계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청 직접 사업으로 봄과 가을에 열리는 음악회, 초등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문화탐방등이 있다.

도봉문화재단 운영 프로그램으로 섬섬옥수, 옛 그림을 수놓다가 있다. “슈지치동아리 활동으로 이어져 1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기본 자수부터 옛 그림을 모티브로 수놓는 작품까지 완성하여 가을에 간송오마주, 솜씨좋은 나날에 작품 전시회를 한다. 작품전은 구청을 비롯해서 몇 군데 순회하면서 전시된다. 지역의 작가를 발굴하여 동양화, 규방공예, 단청회화 등의 특별기획 전시회도 열고 있다.

생생문화재 사업으로 간송야행, 간송가 전승매듭, 간송동행(청소년 프로그램), 간송오마주 솜씨좋은 나날 등이 있다.

지역 연계 프로그램서울시교육청, 북부교육지원청, 관내 초중고의 교육 프로그램, 관내 관공서의 탐방 프로그램 등을 협력해서 진행하고 있다.

, 문화재 내에는 냉난방시설이 부족해 한겨울이나 한여름에는 공간사용에 제약을 받는 아쉬움이 있다.

 

△ 간송옛집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하면서 힘들었던 부분과 의미 있는 부분은 어떤 게 있을까요?

모든 활동의 공통적인 문제일지도 모르겠는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이 제일 힘들지 않을까 한다. 타인에 대한 첫인상도 내가 어떤 마음을 두고 바라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아서 관계 설정이 잘못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삶의 모습 자체가 소통과 불통의 연속이라 할 수 있어서 어떤 경우라도 수용하면서 조율해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들지만 힘들 때가 있다.

간송옛집에서 의미 있는 부분은 비록 능력의 한계는 있지만 작게나마 선조들의 문화를 계승하고 후대에 이어줄 수 있는 역할이 주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늘 감사하게 여기고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간송옛집 내부 전경

 

그동안의 활동경험을 토대로 변화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에 발걸음 하나하나가 뒷사람의 이정표가 된다고 했는데 무슨 일이든 초심을 잃지 않고 되돌아보는 자세가 바탕이 되었을 때 새로운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을공동체사업, 혁신교육지구 사업, 주민자치나 협치든지 초심을 견지하고 그들만의 잔치가 되지 않도록 손길이 필요한 구석구석을 돌아보는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쉽지 않겠지만 기존의 활동 영역 안에서 쌓아놓은 각자의 벽을 허물어 시야를 넓게 확보하면서 모두를 위한 이정표를 세웠으면 좋겠다.

 

도봉구시민협력플랫폼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도봉구의 시민들이 자신의 역할을 각자 충실하게 하면서 서로 간의 협력을 통해 상생을 위한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고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기를 바란다.

 

 

+ Recent posts